소아백혈병은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로,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. 하지만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다른 질환과 유사한 경우가 많아 진단이 어렵습니다. 이 글에서는 소아백혈병의 주요 증상과 특징을 알아봅니다.
소아백혈병의 전신 증상
소아백혈병의 전신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발열: 어린이 환자의 약 60%에서 나타나며, 감염과 관련 없이 지속되기도 합니다.
- 피로감: 약 50%의 환자가 일상 활동에 어려움을 느낄 정도로 피로를 호소합니다.
- 안면 창백: 빈혈로 인해 약 40%의 환자에게서 나타납니다.
이 외에도 림프절 종대(림프절이 부어오름), 간비대 및 비장비대와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증상은 백혈병 세포가 여러 장기를 침범하면서 발생합니다.
특정 부위의 침범 증상
백혈병 세포가 특정 부위를 침범할 경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중추신경계: 드물게 뇌압 상승으로 두통이나 구토가 발생하며, 심한 경우 뇌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.
- 뼈와 관절: 약 25%의 환자가 뼈 통증을 호소하며, 아이가 걷기 힘들어하거나 움직임을 꺼리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남아의 고환: 고환 크기가 커지지만 통증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.
혈액 관련 증상
골수 기능 장애로 인해 혈액 세포 생성에 문제가 생기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빈혈: 어지러움, 창백함, 호흡 곤란 등이 동반됩니다.
- 출혈 경향: 코피, 잇몸 출혈, 멍, 피부 출혈 반점 등이 자주 발생합니다.
- 감염 증가: 정상 백혈구 감소로 인해 감염에 쉽게 노출되고 발열이 잦아집니다.
진단 및 치료
소아백혈병은 골수검사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. 치료는 주로 항암화학요법으로 이루어지며, 중추신경계나 고환 등 국소 부위에 방사선 치료가 병행될 수 있습니다.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경우 자가 또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이 치료 옵션으로 고려됩니다.
Q&A
- Q: 소아백혈병은 어떻게 조기 발견할 수 있나요?
- A: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라 조기 발견이 어렵습니다. 발열, 피로감, 창백함 등의 증상이 지속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.
- Q: 소아백혈병은 완치될 수 있나요?
- A: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율이 높습니다. 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경우 치료 성과가 좋습니다.
- Q: 소아백혈병 예방 방법이 있나요?
- A: 현재까지 알려진 예방 방법은 없습니다. 원인과 위험 요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
728x90
'암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위암 3기·4기 수술 및 치료 과정 (0) | 2025.02.18 |
---|---|
위암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 (0) | 2025.02.18 |
암 수술 후 부부생활 회복과 삶의 질 향상 (1) | 2025.02.14 |
위암 진단과 PET 검사의 역할과 한계 (0) | 2025.02.14 |
췌장암 진단의 혁신, PET 검사의 원리와 활용 (0) | 2025.02.14 |